본문 바로가기
주식

위고비·삭센다·오젬픽 비만치료제 시장 급성장! 국내 제약사 관련주

by 강태식 2025. 2. 15.
반응형

GLP-1 기반 비만치료제 시장이 폭발적으로 성장하고 있습니다.

 

ㅁ GLP-1(글루카곤 유사 펩티드-1)은 장에서 분비되는 호르몬임.

 

당뇨병 치료제로 개발되었으나, 체중 감량 효과가 뛰어나 비만 치료제로도 사용되고 있음.

 

GPL-1 수용체가 '에너지 대사'를 조절하는 뇌 영역에 분포되어 있어, 이를 자극해 가짜 포만감을 만드는 것임.

 

 

덴마크 제약회사 노보 노디스크는 위고비(Wegovy), 삭센다(Saxenda), 오젬픽(Ozempic)를 출시하였습니다.

 

삭센다는 일 1회 자가 주사하는 치료제임. 1세대 치료제로 2017년 허가된 이후 국내 시장 점유율 1위임

 

위고비는 주 1회 자가 주사하는 치료제로 편의성이 높아짐. 2세대 치료제로 2024년 10월 국내에 출시됨.

 

ㅁ 오젬픽은 유사한 성분이나 2017년 당뇨병 치료제로만 허가받음.

 

ㅁ 비만 치료제 3세대 연구는 경구제 개발, 근육량 증가 효과 등에 초점을 맞출 것으로 보임.

 

 

국내 대부분의 제약회사들도 GLP-1 기반 치료제 연구를 진행 중입니다. 주가에는 긍정적인 영향으로 보입니다.

한미약품은 국내 비만치료제 개발에서 선두 주자임. GLP-1을 기반으로 한 삼중작용제를 개발 연구 중임.

 

 

ㅁ 유한양행은 안정적인 R&D 자본을 보유하고 있고 글로벌 시장에 기술 이전 경험이 많아 경쟁력이 높음.

 

 

ㅁ 셀트린온은 항체 기반 GLP-1 신약을 개발하고 있으며, 현재 임상 초기 단계임.

 

 

ㅁ 대웅제약은 GLP-1 기반 비만치료제인 '에페글레나타이드' 개발로 주목받고 있음.

 

 

ㅁ 종근당 역시 GLP-1 기반 비만치료제와 대사질환 치료제 개발에 적극적임.

 

 

ㅁ 그 외 대웅제약, 동아 에스티, 프로젠, 인벤티지랩, 현대약품, 펩트론 등이 있음

반응형

 


다만 전문의약품이므로 부작용이 있을 수 있어 분별하게 사용해서는 안 됩니다.

 

ㅁ 구역질, 구토, 매스꺼움, 설사나 변비, 복부 팽창감, 신장 담석으로 인한 담낭염이나 췌장염, 접종 부위에 알레르기 반응, 저혈당 증상과 당뇨병성 망막병증 악화 등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