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결국 검찰은 1월 26일, 윤석열 대통령을 구속기소 하였습니다.
Eventually, on January 26, prosecutors indicted President Yoon Suk-yeol while he was in custody.
Prosecutors: 검사 또는 검찰 관계자
Indicted: 기소하다
In costody: 구속 중
2.
검찰은 구속 연장을 통해 더 많은 조사를 원했습니다만, 법원은 구속 연장을 불허하였습니다. 이에 구속 기소 또는 불구속 수사의 선택지 중에서, 구속 후 재판에 넘기는 것을 선택하였습니다.
The prosecution sought an extension of his detention to conduct further investigations, but the court denied the request. Faced with the choice between indicting him in custody or pursuing the case without detention, the prosecution opted to move forward with the trial while he remained in custody.
Sought: "요청했다" 또는 "추구했다"
Detention: "구금" 또는 "억류"
Opted: "선택했다"
3.
이로서 '내란죄' 수사는 사실상 종료됐습니다. 윤 대통령이 12월 3일 비상계엄을 선포한 지 54일 만입니다.
With this decision, the investigation into the "treason case" has effectively concluded, 54 days after President Yoon declared martial law on December 3.
Effectively: "사실상" 또는 "실질적으로"
Concluded: "종료되었다"
4.
현직 대통령이 구속돼 재판에 넘겨진 건 헌정사상 처음 있는 일입니다.
This marks the first time in constitutional history that a sitting president has been arrested and brought to trial.
Constitutional: "헌법의" 또는 "헌정의"
5.
윤 대통령은 위헌·위법한 비상계엄을 선포하고 비상계엄 해제를 막을 의도로 국회의원 등 주요 인사를 영장 없이 체포하려 했다는 혐의를 받고 있습니다.
President Yoon is accused of declaring an unconstitutional and unlawful martial law and attempting to detain key figures, such as members of the National Assembly, without warrants, with the intent of preventing the lifting of martial law.
Unconstitutional: "위헌적인"
Warrants: "영장"
Detain: "구금하다" 또는 "억류하다"
6.
공수처는 1월 23일, 윤 대통령 사건을 검찰에 넘기며 공소제기를 요구하였습니다. 이에 검찰 특수본은 보완수사 등을 위해 서울중앙지방법원(중앙지법)에 다음 달 6일까지 구속기간 연장 신청을 냈지만, 법원이 불허함에 따라 추가 수사 없이 윤 대통령을 재판에 넘겼습니다.
On January 23, the Corruption Investigation Office for High-ranking Officials (CIO) handed over President Yoon’s case to the prosecution, recommending indictment. The prosecution’s special task force, aiming to conduct supplementary investigations, requested the Seoul Central District Court to extend the detention period until February 6. However, the court denied the request, leading the prosecution to indict President Yoon without further investigation.
Handed over: "넘겨주다" 또는 "이관하다"
Supplementary: "보완적인" 또는 "추가적인"
Indictment: "기소"
7.
법원은 공수처법 취지상 공수처가 수사해 넘긴 사건을 검찰이 강제수사 등 추가로 수사할 근거가 부족하다는 이유로 구속기간 연장신청을 불허했습니다. 검찰은 지난 25일 곧바로 구속 연장을 재신청했지만, 법원은 이전과 같은 이유로 허가하지 않았습니다.
The court rejected the extension request, citing the lack of legal grounds for the prosecution to carry out additional investigations in cases transferred by the CIO, in accordance with the purpose of the CIO Act. Although the prosecution re-applied for an extension on January 25, the court dismissed the request for the same reasons.
Citing: "인용하다"
Dismiss: "해산시키다", "기각시키다"
8.
애초 검찰은 구속 기간을 연장한 뒤 윤 대통령에 대한 대면 조사를 진행하려 했으나 연장이 불허되면서 윤 대통령에 대한 기소가 앞당겨지게 됐습니다.
Initially, prosecutors had planned to conduct face-to-face questioning of President Yoon after extending his detention period. However, the denial of the extension expedited the indictment process.
Initially: "처음에는" 또는 "애초에"
Expedited: "앞당기다" 또는 "신속히 처리하다"
9.
기소 시점부터 구속 기간이 새로 계산되는데, 형사소송법 제92조 제1항에 따르면 구속기간은 2개월입니다. 구속을 계속할 필요가 있는 경우에는 심급마다 2개월 단위로 2차에 한하여 결정으로 갱신할 수 있으므로, 1심 재판 기간 동안 최대 6개월까지 구속이 가능합니다.
From the time of indictment, the detention period is recalculated. According to Article 92, Paragraph 1 of the Criminal Procedure Act, the detention period is two months. If deemed necessary, it can be extended twice for up to two months per extension, allowing a maximum detention period of six months during the first trial.
Deemed: "간주되다" 또는 "여겨지다"
10.
윤 대통령의 1심 결과는 구속기간이 만료되는 7월 말 전에 나올 수 있다는 관측이 있습니다.
Observers predict that the first trial’s verdict could be delivered by late July, before the detention period expires.
Observers: "관찰자" 또는 "분석가"
Verdict: "판결" 또는 "평결"
'시사' 카테고리의 다른 글
윤 대통령 기소 후 남은 '비상계엄 수사' (Martial Law Investigations Continue Post-Indictment) (0) | 2025.01.29 |
---|---|
트럼프, 최악 산불 LA 방문…"연방재난관리청은 실패" (Trump Visits LA Amid Worst Wildfire (0) | 2025.01.28 |
이재명과 박상돈 공직선거법 위반 논란, 벌금 및 국회의원직 상실 가능성은? (0) | 2025.01.19 |
소액으로 시작하는 테슬라 주식 투자법 (2) | 2025.01.18 |
테슬라 주가 폭락 가능성? 생각보다 심각한 이유들('25.1월) (0) | 2025.01.1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