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사33 이더리움 급락! 저점 매수 기회일까? 전문가 분석 배경최근 이더리움에 대한 투자 관심이 뜨겁습니다. ETF만 보면 비트코인을 넘어서고 있습니다. 이 와중에 트럼프의 멕시코와 캐나다에 대한 관세부과 발표 등으로 인해 이더리움 가격은 급격히 떨어졌습니다. 가격이 많이 떨어진 현 시점에서 이더리움에 투자하는 것이 어떤 의미일지, 전망에 대한 긍정론과 신중론 둘 다 알아보겠습니다. 긍정론 이더리움은 비트코인과 함께 전통적인 투자의 전술적 헤지수단으로 활용될 수 있습니다. 주식 투자의 위험을 분산하기 위한 방법 중 하나로 이더리움 투자가 될 수 있다는 의미입니다. 차트 기술적 분석에 따라 가격 예측을 하면 4,000달러까지 급등할 수도 있다는 전망론도 있습니다. 신중론비트코인의 가격이 끊임 없이 상승하고 있습니다. 따라서 비트코인의 시장 지배력이 상.. 2025. 2. 10. 금 한돈 가격 사상 최고, 언제 팔아야? 글로벌 금 가격과 연간 거래금액, 거래량이 사상 최고치를 기록했습니다.작년 연평균 가격은 온스(약31.1g)당 2,386달러로 최고치입니다. 우리가 익숙한 단위로 환산하면 금 한돈(3.75g)이 약 42만원이나 하는 겁니다. 전년 대비 23% 상승하였습니다. 세금이 포함되면 가격은 더 올라갑니다. 참고로 금을 측정하는 단위로는 '돈'을 사용합니다. 한돈 무게는 3.75g, 반돈은 1.875g, 열돈은 37.5g입니다. 사상 최고치인 연간 금 거래량은 4천974톤, 거래금액 3천820억 달러(약 554조 원)입니다.금 ETF와 같은 금 투자용 거래도 늘었습니다. 지난해 연간 1,180톤으로 전년 대비 25% 증가하였습니다. 각국 중앙은행의 수요도 많았다고 밝혔습니다. 중앙은행들이 금 매입량은 3년 연속 1.. 2025. 2. 6. 삼성전자 시총 5배라던 대왕고래 무산, 관련 주식 전망은? 정부는 '대왕고래(동해 영일만 일대)'의 1차 시추 결과 경제성이 없는 것으로 판단했습니다. 따라서 대왕고래 유망 구조는 더 이상 파볼 필요가 없다는 것이 정부의 잠정 결론입니다. 대왕고래 프로젝트란 정부(석유공사, 산업부 등)가 동해 영일만 일대를 중심으로 진행 중인 심해 가스전 개발사업을 말합니다. 한국가스공사 주식 살까 말까 (대왕고래 프로젝트)1. 배경정부(석유공사, 산업부 등)는 동해 일대(8광구 및 6-1광구 북구)를 중심으로 유전을 개발할 계획이다.이를 '대왕고래 프로젝트'라 부른다.2. 진행상황유전 개발은 3단계로 이루어진다. 물리dictate.tistory.com 당초 경제적 가치가 삼성전자 시가총액의 5배까지 될 것으로 기대하였으나, 최종적으로 대왕고래 유망구조의 경제성은 없는 것으.. 2025. 2. 6. 테슬라 창업자 머스크, 도지 주도로 행정부 구조조정... 위헌 소지 충분? 테슬라 CEO이자 미국 정부효율부( Department of Government Efficiency, 약칭 도지)의 수장인 일론 머스크가 미 연방정부에 대한 장악력을 키우고 있습니다. 국제개발처를 폐지하고, 총무청·재무부 등을 통해 정부를 효율화하려는 시도를 하고 있습니다. 실리콘밸리에서의 혁신적 행보를 행정부에도 적용하는 모습입니다. 다만, CEO로서 자신의 기업을 구조조정하는 것과, 국가를 대표하는 행정부를 구조조정 하는 것은 차원이 다른 문제입니다. 과연 헌법적 충돌 문제를 이겨내고 정부를 효율화할 수 있을까요? 머스크에 대한 현지 반응은 다음과 같습니다. 일론 머스크, 연방 정부 장악 가속화… 헌법 충돌 우려 일론 머스크가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의 전폭적인 지지를 받으며 연방 정부를 신속하게.. 2025. 2. 6. 서울 아파트 가격의 미래, 대만 부동산 폭락? 우리나라는 저출산으로 골머리를 썩고 있는데, 그 원인으로 항상 주목되는 것이 바로 부동산 문제입니다. 서울의 부동산은 영원불패일까요? 우리와 유사한 대만의 사례가 있어서 가져와 봤습니다. 대만은 우누(주택 노예)라는 용어가 있을만큼 내집 마련에 진심인 국가이다. 그러나 최근 집값이 과도하게 상승하여 청년세대들은 '주택 노예'가 되는 것을 거부하는 추세이다. 타이페이의 주택 중위가격은 가구 중위소득의 16배이다. 우리나라(13배)보다 높으며, 런던(14배)과 뉴욕(9.8배)과 같은 세계적인 대도시들보다도 심각하다. 따라서 타이페이 청년들은 부모 세대와는 다르게 집 소유를 포기하고 있다. 대만은 이처럼 충분한 주택 공급에도 불구하고 집값은 계속해서 상승하고 있다. 그 핵심 원인은 부유층의 투기성 매입이다.. 2025. 2. 5. 트럼프, 멕시코·캐나다 관세 1개월 유예, 주가 영향은? 트럼프의 관세 정책이 시행되면 거시경제의 불확실성이 커져, 투자자들이 주식을 비롯한 위험자산 매도 추세가 가속화될 수 있다는 전망이 있었습니다. 각 증권사는 수입관세 계획이 현실화되면 미국 증시 S&P500 기업의 평균 순이익이 2.8.% 감소하는 효과가 있고, 이에 따라 S&P500 지수가 최대 5% 안팍의 변동폭을 나타낼 수 있다는 관측을 전했는데요. 역대 S&P500 지수가 연평균 8~10% 수익률을 기록하고 있는 것을 감안하면 상당히 큰 영향이 있을 뻔 했는데요. 트럼프는 멕시코·캐나다에 대한 관세 조치를 1개월 유예하는 것으로 결정하였습니다. 자세한 내용은 아래 첨부합니다. 미국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은 월요일, 멕시코와 캐나다에 대한 고율 관세 부과 계획을 30일간 유예하기로 결정했다... 2025. 2. 4. 이전 1 2 3 4 ··· 6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