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국 국채금리가 고공행진 중입니다.
그럼에도 투자를 장려하는 분위기는 아닙니다.
왜 그런지 현 상황을 살펴보겠습니다.
참고한 영상은 아래에 있습니다.
최근 미국 신용등급이 한단계 낮아진 것의 의미는?
- 미국의 신용등급은 여전히 엄청 높음.
- 최고 등급에서 한 단계 내려온 것.
- 다만, 하락한 이유는 부채 관리 의지가 없어 보여서임.
- 지난 10년간 경기가 좋았는데 부채는 빠르게 증가함.
- 미국 국채 금리도 높아서 빚이 더 늘어날 소지 있음.
- 적자를 더하는 감세까지 추진하고 있음.
- 이런 이유로 신용 등급이 낮아짐.
최근 미국 국채금리가 오르는 이유는?
- 당초 베센트 재무장관의 목적은
- 수출 부양을 위해 달러 약세를 만드는 것이었음.
- 이를 위해 국채 금리를 낮추는 방법을 선택함.
- 통상 국채 금리를 낮추면 달러 매력이 하락함.
- 따라서 약해진 국채 금리는 내수를 부양하고
- 약해진 달러는 수출 부양하는 의도였음.
- 그런데 반대 흐름으로 나타남.
- 이유는 미국에 대한 우려 때문임.
- 다들 미국 국채를 팔기 때문에 국채 금리는 올라감.
- 이로 벌어들인 달러를 팔고 다른 통화로 바꿔가니
- 달러 가치는 오히려 떨어짐.
- 따라서 달러는 약세지만 국채 금리는 오르는 상황임.
미국에 대한 우려가 커진 이유는?
- 관세 때문임.
- 각 국가는 미국 관세에 대한 반감이 커짐.
- 따라서 미국 국채를 더 구매하지 않음.
- 그런데 미국은 감세하면서 국채를 늘리고 있음.
- 따라서 수요는 줄고 공급은 늘어서
- 국채 가격이 낮아지고 국채 금리는 높아짐.
현재 중국 위안과 미국 달러의 관계는?
- 미국이 원하는 것은 달러 가치를 낮추는 것임.
- 미국의 수출 부양을 위해서임.
- 그러기 위해 위안의 빠른 가치 상승을 원함.
- 중국 역시 위안의 가치 상승을 통한 국제 통화화를 원함.
- 위안 가치가 높아지면 수입 물가가 안정되고
- 수입 물가가 안정되면 저금리가 가능해짐.
- 저금리가 되면 경기부양이 가능하고 소비가 커짐.
- 소비가 커지면 해외 교역이 늘어나고
- 세계적으로 위안 소비가 많아질 수 있음.
- 다만 미국은 빠르게 위안 가치 상승을 원할 것이고
- 중국은 자국 경제가 적응하도록 천천히 할 것임.
- 둘이 원하는 속도의 차이가 있음.
- 관세는 이 속도를 맞추기 위한 협상의 도구가 될 것임.
미국이 의도하는 것은 무엇인지?
- 미국의 관세와 감세를 동시에 봐야함
- 관세를 부여하면 성장 둔화되나 재정 적자는 줄어듬.
- 감세하면 성장 부양하나 재정 적자는 늘어남.
- 따라서 관세와 감세를 동시에 추진해 균형을 맞추는 것임.
- 다만 관세 정책이 잘 안되고 있고
- 감세하려니 신용등급이 하락함.
- 미국이 의도하는 대로 잘 안되고 있음.
미국 국채 금리가 5%면 매력적인 투자처 아닌지?
- 매력적인 금리는 맞음.
- 근데 국제적으로 미국채 매수를 부담스러워 함.
- 미국 정책의 불안정성 때문임.
- 따라서 미국 국채 금리가 더 높아야 매수할 것이고
- 금리가 얼마나 높아질지는 시장에 부딪혀봐야 됨
- 균형가격을 찾는 과정에서 금리 변동성이 높을 것임.
- 따라서 국채 시장의 변동성이 굉장히 큰 상황임.
역사적으로 봐도 미국 달러, 국채, 금리에 대한 혼란이 가장 큰 시점인 것 같습니다.
위험수위 다다른 미 국채금리..."지옥으로 가는 통화" [월간 오건영 1부] - YouTube
'주식은 현실' 카테고리의 다른 글
비트코인 현재보다 10배 오르는 이유 (25.7.) (0) | 2025.07.04 |
---|---|
부동산 폭락이 올 것인가? 마치 일본처럼. (1) | 2025.06.30 |
지니어스법 상원 통과, 미국이 스테이블코인 지지하는 이유? (0) | 2025.06.27 |
미국 국채를 사야 하는 이유 (0) | 2025.06.22 |
한국 국채 투자는 지금이 적기 (0) | 2025.06.19 |
테슬라 vs 아마존, 로보택시 전쟁 시작 (0) | 2025.06.19 |
단타로 돈 버는 방법 (1) | 2025.06.19 |
테슬라 주가 역사적인 상승 코앞인 이유 (2) | 2025.06.18 |